안녕하세요. 열아홉번째입니다. :)
돈을 모으겠다는 생각 하나로 티스토리에 기록을 하면서 저축에 힘을 쓰고 있는데요. 이제 2025년이 되기도 하고 더욱 돈 모으기에 속도를 붙일 수 있도록 이사를 계획하고 있는 중이었어요. 새로운 계획을 짜고 더욱 열심히 모으기 위해서 경제 영상도 보려고 하던 찰나에 어떤 영상이 좋을지 잘 몰랐던 저는 경제 오픈 채팅방에서 아침에 추천해준 영상이 하나 있어 보고 난 이후 구독도 하게 되었답니다. 제가 본 영상은 #돈쭐남 #김경필 선생님의 영상이었는데 베스트셀러인 딱 1억만 모읍시다의 저자로 팩트를 집어주는 영상이라 기록 겸 리뷰를 해보려고 합니다.
돈쭐남 김경필 - IMF 때보다 더 끔찍한 가난이 오고 있다 “지금 이 행동 하는 사람만 살아남을 겁니다”
경제를 이제 막 시작하시는 분들보다는 가계부를 열심히 쓰고 계시고 목돈을 더 늘리고 싶으신 분들께서 보시면 좋을 영상이라 생각됩니다.
( 영상 링크는 위의 링크 참고해주세요. )

가장 먼저 우리나라는 헬조선인가?
이 질문에 대해서 나의 생각은 헬조선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뒤로 넘어가서 보니 2030세대의 10명 중에 9명이 우리나라는 헬조선이라고 생각한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헬조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는 다른 나라들의 비해 저희 나라는 본업 이외에도 열심히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있기도 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의지가 상당한데 안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 조금만 열심히해도 돋보인다고 생각을 했었어요.
그렇다면 저는 여기서 말하는 10%에 해당하는 사람인가보다,,라고 깨달았었어요. 10%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금수저인가? 절대 그렇지 않아요. 저만해도 금수저는 아니지만 저처럼 본인이 열심히 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생각보다 기회들이 있기도 하고, 헬조선이라고 비판하면서 가만히 있기에는 제 시간이 아깝다고 생각이 들거든요.

그러면서 돈쭐남 김경필 선생님께서 하나의 숏츠를 보고서 인상깊어 영상에 첨부하여 보여주시더라고요. 수학 일타강사 중에 일타강사인 현우진 선생님께서 헬조선이라고 불리는 지금 시기는 성공하기가 너무나도 쉬워진 시대가 되었다고 말씀하셨다고 하더라고요. 어느 누구도 뭘 열심히 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거기서 본인은 빛을 봤다고 하시는 말씀을 듣고서 생각의 차이라고 말씀해주시더라고요.
여기에서 또 한 번 영감을 받아서 공감을 하였고, 누구나 제가 하고 있는 것을 따라할 수는 있겠으나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요. 저만해도 주변 사람들에게 이렇게 하면 좋고 목돈이 생긴다고 해서 하는 사람이 있고 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런 것을 천천히 느껴가는 요즘에 헬조선이라는 말로 시대전환이 가능하겠단 생각까지 들었답니다.

연말을 잘 마무리하는 방법으로는 집 정리, 인맥 관리, 돈 관리, 성과 정리 4가지를 말씀해주셨는데요. 지금 딱 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던 4가지라서 더욱 관심있게 영상을 보게 되었고, 각자의 상황에 따라서 정리를 하면 되겠다 생각이 들었어요. 이후 영상 리뷰를 하면서 정리를 한 번하고 연말 마무리에 관한 기로을 하면서 4가지도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1. 집 정리 - 돈쭐남 김경필 선생님께서는 방을 정리하였다고 하셨어요. 아무래도 가정이 있으신 분이시니까 그러신 것 같아요. 저는 최근에 고정지출을 줄이기 위해서 이사를 하게 되었는데 그김에 집 정리를 계획하고 있어요. 불필요한 물품은 판매를 할 예정이며 조금이나마 수월하게 이사를 할 계획이랍니다. 집 정리를 싹하면서 좋은 새로운 기운으로 연말을 잘 마무리하고 힘차게 연초 맞이를 해보려고 합니다.
2. 인맥 관리 - 나의 감정을 낭비하는 인맥은 끊어내고 있어요. 불필요한 연락은 더이상 하지 않은 편이에요. 그 이유는 제가 바쁘게 살아가고 있는데 시간이 모자라기도 하고 제가 잘될때 축하를 해준 사람과 축하를 해주는 척하는 사람을 어느정도 구분을 하게 되었어요. 필요할 때만 찾는 사람들도 꽤나 많았어요. 그렇기에 제 에너지를 낭비하게 만드는 인맥은 서서히 끊어내는 중이랍니다. 연말에 확실하게 정리하는 것도 좋을 것 같았어요.
3. 돈 관리 - 돈 관리는 10월 말부터 시작을 하고 있고 나의 뚜렷한 목표를 위해서 열심히 아끼고 살아보려고 해요. 최근에는 더욱 많은 저축을 하기 위해서 드디어 전세금을 올려 이사를 하게 되었답니다. 아무래도 매달 나가는 금액 자체가 엄청났기 때문에 저축을 하면서도 고민도 되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방탕하게 거의 2년을 살기도 하였죠. 하지만 이제는 30대가 되었기에 더 이상 그럴 수 없다고 판단하여 제가 목표한 기간까지 눈감고 달려보려고 해요.
4. 성과 정리 - 성과 정리에 대해서는 언급 없이 다른 영상에 기록 되어있는 것 같아서 추가로 볼 예정이랍니다. 성과 정리의 경우에는 내가 이번년도에 모아돈 자산이나 제 경력, 실력을 말하는 게 아닐까 싶어요. 갑작스럽게 모으게 된 돈이었는데 막바지에 타이트하게 모아서 목돈을 모으게 되었지만 내년에는 더욱 달려볼 심산이며 내년부터 연봉이 올랐기에 이번년도의 제 성과는 나름 좋았다고 판단이 됩니다.


1단계 총량 저축금액 정하기
1년간 100% 확률로 자본이 얼마나 증가 시킬 것인가? 내가 이만큼은 꼭 모으겠다는 다짐은 12월에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세이브할 금액을 미리 12월에 목표를 세우고 1월에 받았을 때부터 저축, 투자를 쉬지 않고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저는 2024년 12월까지 제가 모으려고 했던 금액은 6천 5백만원이었는데 11월에서 12월 넘어갈때쯤에 목표 달성을 하게 되었어요. 분명 시작하기 전에는 가능할까 생각했었는데 가능했답니다. 그리하여 이번 영상을 보면서 새롭게 목표를 세우게 됐어요. 2025년에는 2천만원을 모아보려고 합니다.

연령별 저축률이 점점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 부분은 왜 그런 것인지 영상에서 자세하게 알려주시더라고요. 저축의 골든타임은 일 시작부터 15년이라고 해요. 저는 현재 조각 경력이기는 하지만 본업에 약 5년차 정도 되었어요. 중간에 쉬었던 기간이나 목돈 나가야했던 시기를 빼고 나면 퍼센트에 적절한 듯 합니다. 다시 모으기 시작하여 11월에는 저축률을 65%로 올렸지만 더욱 욕심을 내어보려고 합니다. 5년차 이상은 4~50%가 된다고 하는데 이번에 저는 더욱 저축률을 늘릴 수 있을 것 같아 힘을 내보겠습니다.


2단계 저축방법 정하기
a와 b 선택지 중에서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선택하여 정하면 되는데요. 저는 a로 선택을 하면 되겠다고 생각했어요. b의 경우에는 신혼부부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주셨었는데 그러다보니 저는 굳이 선택하지 않아도 될 선택지 같아서 저축의 기본인 a로 하면 되겠더라고요.
그래서 1년동안 2천만원을 모으기 위해서는 한달에 166.666만원으로 167만원~170만원정도 저축을 하면 되겠더라고요. 저번달에 150만원정도 목표를 했더니 가능했기에 2025년도 노력해서 나의 목표를 성공해보도록!

3단계 정기소비예산 정하기
이 부분은 굉장히 세세하게 잡아야하니 어떻게 잡아야할까 막막하더라고요. 그래도 미리 세워놔야하기도 하고 미리 해봐야 실패해도 나중에 더 잘할 수 있을테니까 정리를 해보려고 해요. 일단 고정비의 경우에는 교통비와 주거비용이 1월부터는 확실히 줄어들 수 있게 되어 비중을 줄일 수 있고, 변동비의 경우에는 한달에 40만원으로 지금도 목표를 잡아두고 정했기에 1년동안 480만원을 변동비용으로 잡아봐야겠어요!

4단계 비정기 소비예산 정하기
계절지출 내용으로 명절, 여행, 생일, 옷, 세금 등을 정해야하는데 월급 외에 따로 내는 부분에 대해서도 포함을 해야할 것 같아요. 명절에는 내가 용돈으로 줘야하니,, 이때도 각각 정해놓고 비정기 소비예산을 정해둬야할 것 같아요. 이건 매달 모아놔야하는 건가 싶기도 했어요. 이 방법에 대해서는 조금 더 찾아봐야겠네요.

마지막 영상을 마무리하면서 3가지를 알려주셨어요. 진실이 드러난다(소중함의 우선순위), 변화의 기회가 온다(잘못을 바로잡을 기회), 핵심에 집중하게 된다(명확한 행동기회). 목표를 세운대로 진행되도록 노력을 하겠으나 사람 일이라는 게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실패를 할 수도 있어요. 이에 따라 제가 세운 계획과 예산이 잘못되었을수도 있지만 이를 계기로 포기하기 보다는 바로 잡을 수 있도록 개선해나아가면 되고, 행동으로 옮기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이렇게 돈쭐남 김경필 선생님의 영상 리뷰를 마칩니다. :)